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이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정책을 내놨다. 24일 발표한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 정책과제’는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지방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지역 중심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전남교육청은 이날 오전 기획조정회의를 열고 ▲대입제도 개선 ▲교원기초정원제 도입 ▲학생교육수당 전국 확대 ▲K-에듀센터 설립 ▲국제직업고등학교 설립 등 5대 정책과제를 확정해 각 정당과 대선 후보에게 공식 제안하기로 했다. 첫 번째 과제로 제시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대입제도 개선 및 대학 체제 개편’은 지역 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입시 중심 교육에서 탈피하자는 취지다. 대학 서열화 해소와 지역 거점 국립대학 육성을 통해 교육재정을 균형 있게 분배하고, 과도한 수능 경쟁을 완화하자는 내용이 포함됐다. 두 번째로는 ‘교원 기초정원제 도입 및 지역 맞춤형 교원 양성’이 제안됐다. 전남과 같은 소규모 학교 밀집 지역에선 기본적으로 충분한 교사 배치가 어려운 현실이다. 전남교육청은 모든 학생에게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교원 기초정원제를 도입하고, 교육감의 자율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 교육청이 체험학습 시즌을 앞두고 학교 현장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현장체험학습 준비가 본격화되는 4월, 교사들은 실질적인 지원 없이 수많은 행정적 부담을 떠안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청이 약속한 보조인력풀 운영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며, 교사들은 생색 행정에 지쳐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남지부는 22일 성명을 발표하며, "보조인력풀 명단만 던져주고 실질적인 지원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교육청은 지난 3월, 퇴직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보조인력풀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는 실제 인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교사들은 "명단만 던져주고 끝"이라며, 교육청의 무책임한 행정에 허탈감을 느끼고 있다. 체험학습을 관리하는 교사들은 안전요원 배치와 학부모 민원 대응 등으로 큰 부담을 안고 있다. 행정적 절차와 안전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채,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는 데 있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김대중 교육감의 의지와 교육청 집행부의 태도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청이 여전히 실질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비판 속에서, 교육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