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1.5℃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9.2℃
  • 맑음대전 23.3℃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23.5℃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20.9℃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4.7℃
  • 맑음보은 21.4℃
  • 맑음금산 21.3℃
  • 맑음강진군 22.4℃
  • 맑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17.7℃
기상청 제공

전남도교육청, 체험학습 앞두고 교사들 '행정 지옥'… 준비는 누가?

- 보조인력풀 약속만 던지고 현실은 공백
- 교사들, 안전 관리와 민원 대응에 분노
- 김대중 교육감, 실효성 있는 해결책은 어디에?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 교육청이 체험학습 시즌을 앞두고 학교 현장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현장체험학습 준비가 본격화되는 4월, 교사들은 실질적인 지원 없이 수많은 행정적 부담을 떠안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청이 약속한 보조인력풀 운영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며, 교사들은 생색 행정에 지쳐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남지부는 22일 성명을 발표하며, "보조인력풀 명단만 던져주고 실질적인 지원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교육청은 지난 3월, 퇴직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보조인력풀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는 실제 인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교사들은 "명단만 던져주고 끝"이라며, 교육청의 무책임한 행정에 허탈감을 느끼고 있다.

 

체험학습을 관리하는 교사들은 안전요원 배치와 학부모 민원 대응 등으로 큰 부담을 안고 있다. 행정적 절차와 안전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채,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는 데 있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김대중 교육감의 의지와 교육청 집행부의 태도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청이 여전히 실질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비판 속에서, 교육감의 지도력 부재와 집행부의 무책임한 태도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육청 내부의 갈등이 지속된다면, 그 피해는 결국 교육 현장에 고스란히 전가될 수밖에 없다.

 

전교조 전남지부는 이번 성명에서 교육청에 대한 네 가지 요구 사항을 명확히 했다. 그들은 ▲체험학습의 법적 보호장치 마련 ▲교내 방문형 체험학습 허용 ▲보조인력은 ‘명단’이 아닌 실제 인력으로 지원 ▲체험학습 예산 유연한 운용 보장을 요구했다. 하지만 교육청이 이를 실천에 옮기지 않는다면, 교사들의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교사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김대중 교육감이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