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1980년 5월 21일 오전,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한 시민이 직접 촬영한 6분 분량의 8㎜ 필름 영상이 45년 만에 공개됐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이 최근 기증받아 27일 영상 공개 시사회를 개최한 이 영상은 5·18 민주화운동의 정점이자 도청 앞 집단발포 직전의 긴박했던 순간을 시민 시선으로 생생하게 담아내며,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귀중한 현장 기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영상은 당시 금남로 가톨릭센터 앞 아치 구조물 위에 고정된 카메라로 촬영되었으며, 시위대 중심의 역동적인 움직임과 현장 분위기를 사실적으로 포착하고 있다. 기존에 공개된 대부분의 영상들이 계엄군의 시선에서 도청 앞 시위대를 바라보는 구도였던 것과 달리, 이 영상은 시민 내부에서 바라본 장면이라는 점에서 독보적인 의미를 가진다. 영상에는 시위대와 시민들의 대치 모습, 상공을 선회하는 군용 헬리콥터와 수송기(C-123), 시신 2구를 실은 손수레, 시민들이 몰고 온 장갑차, 최루탄 연기 속에서도 시신을 지키는 시민들의 결연한 모습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특히 5월 21일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의 시간대가 명확히 나타나, 당시 계엄군에게 실탄이 분배되고 장갑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이 오는 22일 전남대학교 대학본부 세미나실1에서 제2회 5·18연구자대회 기록세션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국가폭력 아카이브 구축의 명암’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회의는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전남대학교 5·18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며 국가유산청, 광주시, 전남도, 전남대학교가 후원한다. 5·18 관련 기관과 국가폭력 관련 단체, 기록 연구 기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관련 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석할 예정이다. 학술회의 첫 발표는 송용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가 맡는다. 송 교수는 ‘국가폭력 데이터베이스(DB) 구축 표준화 기준 및 방안 연구’를 통해 국가폭력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고려해야 할 기준과 표준화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 윤혜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과장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아카이브 사례를 소개하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장연희 10·29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회 비서관은 ‘기억은 누구의 것인가?: 국가폭력 기록의 권리와 책임을 묻다’ 발표에서 국가폭력 기록물의 소유권과 저작권 문제를 조명하고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