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이 오는 22일 전남대학교 대학본부 세미나실1에서 제2회 5·18연구자대회 기록세션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국가폭력 아카이브 구축의 명암’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회의는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전남대학교 5·18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며 국가유산청, 광주시, 전남도, 전남대학교가 후원한다.
5·18 관련 기관과 국가폭력 관련 단체, 기록 연구 기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관련 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석할 예정이다.
학술회의 첫 발표는 송용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가 맡는다. 송 교수는 ‘국가폭력 데이터베이스(DB) 구축 표준화 기준 및 방안 연구’를 통해 국가폭력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고려해야 할 기준과 표준화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 윤혜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과장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아카이브 사례를 소개하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장연희 10·29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회 비서관은 ‘기억은 누구의 것인가?: 국가폭력 기록의 권리와 책임을 묻다’ 발표에서 국가폭력 기록물의 소유권과 저작권 문제를 조명하고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학술회의 마지막 순서인 패널토론에는 박강배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김신석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기록연구사, 김태현 한국외국어대 강의교수가 참여해 국가폭력 아카이브 구축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은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 5·18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냉철하게 살피고, 향후 아카이브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