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0℃
  • 흐림강릉 12.9℃
  • 서울 17.9℃
  • 구름조금대전 23.1℃
  • 구름조금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0.9℃
  • 흐림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20.5℃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5.6℃
  • 구름조금보은 20.5℃
  • 구름많음금산 22.9℃
  • 흐림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23.5℃
  • 구름많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기업은행, 국감서 1600억원 손실 본 '길거리 점포' 사업 재점화

김성태 IBK기업은행 전무이사 [사진=IBK기업은행]

기업은행의 대표적 실패작인 ‘길거리 점포’ 사업이 이번 국정감사에서 재점화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성태 당시 미래전략실장이 ‘길거리 점포’ 사업을 진두지휘하며 1600억원의 손실을 낳았지만 손실에 대한 아무런 책임 없이 올해 초 기업은행 2인자 자리인 ‘전무이사’로 임명돼 논란이 되면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이 진행한 '길거리점포' 사업은 1600억원이 넘는 손실을 봤고, 2017년부터 정리를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길거리점포' 사업은 기업은행이 KT링커스의 노후한 공중전화 부스 2000대를 임차해 ATM 점포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2011년 시범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10년간 2000억원 규모의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조준희 당시 기업은행장의 아이디어로 시작했고, 김성태 당시 미래전략실장이 주도했다.

지난 3월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7년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길거리점포' 사업으로 인한 5년간 손실액이 166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까지 해당 사업에 투입된 금액은 1684억원이고 수수료 수익은 22억원에 불과했다.

수익도 나지 않고 시대에 역행하는 사업이 진행되자 부스를 제작하는 큐브인사이트라는 특정 회사에 특혜를 주기 위함이 아니냐는 논란도 제기됐었다. 기업은행이 KT링커스의 공중전화 부스 제작원가를 전액 지불하기로 하면서다.

이 의원은 "길거리점포 사업은 금융시장의 흐름에 절대적으로 역행하면서까지 특정 기업에 특혜를 주려는 누군가의 의지가 반영된 사업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혹은 국책은행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크게 하락시킨다"라며 "금융당국에게 기업은행 길거리점포 사업에 대한 전반적이고 면밀한 검사를 요구할 예정"이라고 지적했었다.

KT링커스 자산인 공중전화 부스 제작료를 기업은행이 용역료에 포함시키는 것도 문제지만, 부스 운영을 5년 이내에 중단할 경우 제작원가의 잔존가액도 기업은행이 지불해야 사업을 철회할 수 있도록 했다.

대규모 적자가 확인된 당시에도 사업 실무자인 김 전무의 책임론이 나왔다. 이후 2017년 김도진 전 행장의 취임으로 정리 수순에 들어가며 ‘길거리 점포’ 사업은 잊혀지는 듯 했지만, 올해 초 전무이사에 김 전무가 유력 후보자로 거론되며 재조명 됐다.

이에 이번 국감에서도 해당 사건이 또 다시 점화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길거리점포 사업을 추진했던 총 책임자로 지목되는 김 전무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전무이사로 승격해서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은행은 정부가 투자한 국책은행이고 정책 금융기관으로써 특정 기업의 특혜 논란과 더불어 대규모 손실을 낳은 책임자를 기업은행의 2인자 자리에 올린다는 것은 해당 논란을 가볍게 여기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기업은행은 최근 직원의 셀프대출과 금품수수 등의 문제가 불거지며 험난한 국정감사를 예고하고 있다.

이영 국민의힘 의원이 금감원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은행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 20개 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186건, 사고 금액은 총 4884억원으로, 사고 금액이 가장 큰 곳은 1337억원, 15건의 기업은행이었다.

또 '장하성 동생 펀드'로 불리는 디스커버리펀드 환매중단 사태도 국감의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의 친동생이 운영한 회사다.

기업은행은 2017년 4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사모펀드 6700여원어치를 판매했다. 이후 환매중단 금액은 914억원에 달한다.

이에 국책은행이 정권 실세의 친동생이 운영하는 펀드사에 특혜를 제공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됐었다. 기업은행이 2018년 이후 판매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펀드상품이 금융권 중 판매량 1위인 것으로 드러나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