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관절와순 파열, 관절내시경 치료 통해 회복 가능

위쪽 관절와순, 느슨한 연결로 손상 받기 쉬워
잦은 어깨 사용 및 무리한 스포츠 등으로 발생...조기 치료받아야

 

어깨관절의 관절와순은 어깨뼈의 가장자리를 둑처럼 둘러싸고 있는 섬유질 연골을 말한다. 어깨와 팔의 상부 뼈를 이어주는 섬유 연골조직으로 위팔뼈(상완골)가 어깨뼈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위쪽 관절와순은 팔뚝 근육, 어깨뼈와 느슨하게 연결돼 있어 손상을 받기 쉬운 편이다.

 

관절와순의 파열은 보통 어깨를 부딪쳐 다치거나 팔을 짚고 넘어질 때, 공을 무리하게 던지거나 팔을 머리 위로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할 때 주로 생기며, 대부분 공을 다루는 운동을 즐기는 젊은 사람 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파열 시 늘 어깨가 무거운 느낌을 받는 등 통증을 느끼기 쉽다. 머리를 빗어 넘기거나 옷을 머리 위로 편하게 입고, 벗을 수 없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하지만 질환 특유의 증상이나 진찰 소견이 없고, 어깨 관절 앞쪽 부분의 불안정성이나 회전근개 파열, 오십견 등 다른 질환을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방치하기 쉬워 많은 주의를 요한다. 특히 관절와순은 어깨 관절 내부 깊숙이 자리한 연골 구조물이기 때문에 단순 엑스레이나 초음파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편에 가깝다.

 

따라서 MRI 검사를 통해 정밀 진단이 필요하며, 검사 후 관절와순 파열로 진단이 내려졌다면 개인별 맞춤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관절와순 파열을 진단받으면 먼저 약물 치료, 주사 치료, 재활 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를 진행하면서 경과를 지켜본 후, 비수술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에는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진행한다. 관절 내시경을 이용하여 병변 부위를 단순히 절제하기도 하고, 파열된 병변을 실이 달린 나사못을 이용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봉합해 주기도 한다.

 

관절내시경으로 수술하기 때문에 1∼1.5㎝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내 출혈이나 수술 후 흉터가 작고, 가능한 정상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 통증이 적으며 회복 기간이 빠르다. 또, 수술 후 관절 유착에 의한 관절 운동 제한 등의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며, MRI와 같은 정밀검사에서도 파악하지 못하는 병의 진행 상태를 직접 살펴보며 치료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관절와순 파열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수술 후에는 약 3주간 보조기를 착용해 관절을 안정시켜야 하며, 향후 6개월간은 과격한 움직임을 피하고, 어깨 근력 강화와 가동 범위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글: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센터 정성훈 원장

 

지이코노미 이장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