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대희 기자 | 젊은 50대를 포함한 폐경기 여성들은 호르몬 변화로 ‘퇴행성 관절염’을 앓기 쉽다. 무릎을 자주 굽힌 채 집안일을 하는 행동을 원인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많다 보니 연골 및 연골판 등에 무리가 가기 쉬워지는 것.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퇴행성관절염은 연골이 손상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퇴행성이라는 이름처럼 노화로 인한 관절의 변화가 대부분이며 과체중, 외상, 주위 뼈의 질환, 근육 약화,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다행히 퇴행성관절염 초기에 발견했다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연골이 어느 정도 손상된 ‘퇴행성관절염 중기’에 이른 경우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손상된 연골을 다듬고 회복을 돕는 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의 완화를 기대해야 한다.
이후 퇴행성관절염이 말기에 이르면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피해진다. 최근에는 인공관절수술 기법의 발전으로 중년여성이라면 환자의 성별과 나이, 신체적 특성을 모두 반영한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을 통해 체구가 작은 여성이라도 맞춤형으로 설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해당 수술은 3D 프린팅과 3D 시뮬레이션 기술을 인공관절수술에 접목시킨 방법으로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수술 도구(가이드)와 무릎 모양을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수술 이전에 가상 수술을 진행해, 하지 정렬과 삽입 위치를 정확히 맞춰 수술 시간을 단축하고 인공관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한 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만큼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환자의 무릎 상태에 맞는 디자인을 적용한다면 적용한다면 수술 시간, 염증이나 출혈 등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빠르게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