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5℃
  • 맑음강릉 6.4℃
  • 맑음서울 0.5℃
  • 구름많음대전 4.6℃
  • 연무대구 6.8℃
  • 연무울산 7.8℃
  • 연무광주 6.8℃
  • 연무부산 8.3℃
  • 구름많음고창 6.2℃
  • 맑음제주 11.0℃
  • 맑음강화 -0.3℃
  • 구름많음보은 3.3℃
  • 맑음금산 5.4℃
  • 흐림강진군 8.1℃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8.3℃
기상청 제공

‘노인 가구’, 2038년 1천만, 2052년엔 전체 절반 넘는다

-통계청 장래가구 추계…가구원 수, 10년 뒤 2.0명선 붕괴

-총 가구수, 2042년 최고 기록 후 감소…다른 선진국 비해 가파른 1인·고령화

                           (총가구 및 가구 증가율, 2000-2052    이하 자료 제공: 통계청)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노인 가구’가 오는 2038년 1천만 가구를 돌파하고, 2052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을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034년 2.0명 밑으로 떨어지면서 2052년 1.81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총 가구수는 2042년에 최고점에 올랐다가 줄어들게 된다.

 

 

             (주요 가구유형별 구성비, 2022-2052)              (주요 가구원수별 구성비, 2022-2052)

 

 

통계청은 12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을 발표했다.

장래가구 추계는 최근의 가구 변화 추세를 반영해 향후 30년의 가구 규모, 가구 유형, 가구원 수별 가구 구조를 전망한 자료다.

기존엔 5년 주기로 작성됐지만, 인구추계와 기준연도 일관성을 유지하고 통계의 시의성을 높이기 위해 이번부터 2, 3년 주기로 변경됐다. 다음 추계는 2025년 기준으로 2027년 발표된다.

노인 및 1인 가구 비중이 우세한 구조 자체는 다른 선진국과 비슷하다.

2042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가구 구성비(44.4%)는 일본보다 조금 낮고 영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같은 시기 1인 가구 구성비는 독일·일본보다 낮고, 영국·호주보다는 높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다만 노인 가구와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속도는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가파르다.

 

  

         (1인 가구 연령별 규모, 2022-2052)                       (1인가구 연령별 구성비, 2022-2052)

 

 

2022년 총가구는 2천166만 가구다. 2041년 2천437만 가구까지 늘지만 2042년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서 2052년에는 2천327만7천 가구로 줄어든다.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전체 가구 수는 늘지만, 총인구가 감소하면서 가구 수 역시 2042년부터 꺾이는 흐름이다.

 

가구원 수는 감소세를 유지한다.

평균 가구원 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34년 1.99명으로 줄면서 2.0명선이 처음으로 무너진다. 2052년에는 1.81명까지 줄게 된다.

고령화로 가구주의 연령은 지속적으로 올라간다. 가구주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와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가구를 대표하고 생계를 책임지는 개념이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2022년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12.2세가 높아진다. 가구주 중위연령 자체가 고령화 영역에 들어서는 것이다.

2022년에는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지만 2052년에는 70대 이상이 4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천가구에서 2038년 1천3만가구로 1천만선을 넘어선다.

 

                               (주요 가구유형별 구성비 추이, 2022-2052)

 

2052년에는 1천178만8천가구로 2022년 대비 2.3배 증가한다.

이에 따라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22년 24.1%에서 2052년 50.6%로 높아진다. 2052년엔 고령자 가구가 절반을 웃도는 셈이다.

고령자 가구 중 1인 가구는 2022년 36.8%에서 2052년에는 42.1%로 올라간다. 고령자 가구 10집 중 4집이 독거노인이 된다는 의미다.

 

                                           (성별 연령별 가구주, 2022)

 

                                                 (성별 연령별 가구주, 2052)

 

성별로는 2022년에 66.1%였던 남자 가구주의 비중이 2052년에 58.5%로 떨어진다. 같은 기간 여자 가구주의 비중은 33.9%에서 41.5%로 올라간다. 평균 수명이 짧은 남성들이 먼저 사망하면서 여성 가구주의 비중도 커지는 것이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는 줄어든다.

2022년 기준으로 혼인 상태인 유배우자 가구주는 58.5%, 미혼 21.8%, 사별 10.0%, 이혼 9.7% 순이었다.

2052년에는 유배우자 가구주 비중이 43.4%로 줄고, 미혼 32.1%·이혼 13.9%·사별 10.6% 등 배우자가 없는 가구주 비중은 모두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