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LG유플러스, 1개월 연체 고객에 통신 끊고 당월 요금까지 내게 하는 갑질... 말로만 “잘못됐다” 고객 분통

1개월 연체인데 2개월 치 요금 문자
과기부는 고객과 LG 연결 시켜주는 114 역할만
과기부, 유사 사례 피해자 전수조사 필요
국감장에 구광모 회장 불러야 정신 차릴 것

지이코노미 최영규 기자 | 살면서 블랙아웃을 겪어봤는가. 휴대폰이 끊기면 딱 그 꼴이다. 통화와 문자는 물론 예약, 결제 뭐든 안 되니 일상이 멈추게 된다. LG유플러스(황현식 대표이사)에 관련 갑질을 당했다는 제보자 A 씨의 사정도 그랬다. 새벽에 정지를 당하다 보니 당일 KTX를 타야 하는 중요한 일정을 망치게 됐다. 더구나 LG유플러스는 정지 후 A 씨에게 미납액에 당월 요금을 더한 금액을 문자로 보냈고, A 씨는 어쩔 도리 없이 당장 안내도 될 당월 요금까지 내야 했다. 미납금 13만 원에다 당월 요금 13여만 원을 더해 26여만 원을 입금한 것이다.

 

 

A 씨는 당월 요금을 미납요금과 함께 청구해 선입금을 내는 갑질을 당했다며 지난달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부)에 민원을 접수했다. A 씨와 같은 피해를 입은 고객이 또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정부 차원에서의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과기부는 그러나 전수조사는 뒤로하고 LG유플러스 직원과 연결시켜 주는 114 역할만 하고 같은 달 28일 “신청한 민원에 대해 해당 사업자가 답변하였음을 안내해 드립니다”라는 문자메시지로 민원을 끝냈다.

 

A 씨의 분노에 기름을 부은 건 LG유플러스의 상담직원이었다. 과기부에 민원이 접수될 정도면 상황 파악이 이미 됐을 터, 처음부터 모르는 척 다시 물었고 A 씨는 다시 설명했다. “고객을 귀찮게 하자는 전략인지 진짜로 몰라서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라고 A 씨는 말했다.

 

LG유플러스의 직원과의 상담 요지중 A 씨의 주장은 “당장 안내도 될 요금을 당겨서 선입금을 받았다”라는 것이고 LG유플러스 측은 그럴 리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LG에서 보낸 문자를 캡처해서 이메일로 보내줄 것을 요청했고 10여 분간의 긴 통화가 끝났다.

 

A 씨가 당일 받은 ‘입금 전용 계좌번호와 총 납부할 금액 265,800원’ 문자를 확인한 그 직원은 단순히 A 씨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거라는 투였다. A 씨가 문제 삼는 상담 직원의 말을 정리하면 이렇다.

 

=저 문자는 미납 정지랑 해제랑 관계없이 입금 전용계좌를 요청하면 발송하는 그런 문자다

 

=다 납부해야 정지가 해제된다는 내용이 전혀 없다.

 

=만약에 정지하고 나서 바로 보냈을 때 미납요금만 발송하면 어떤 고객님께서는 미납요금만 납부를 하면 요금 납부할 게 다 없어지는 것처럼 생각할 것이다.

 

=그러니까 고객님이 오해를 하신 거다.

 

A 씨는, LG유플러스에서 통신을 끊고 바로 보낸 문자에 총 납부할 금액이라 적혀있으면 그 돈을 다 내야 정지가 풀린다고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미납요금 13만 원을 납부하면 정지가 해제된다고 안내하는 게 맞지 않느냐고 거듭 항의했다. 그제야 직원은 “이해가 됩니다. 네 고객님 생각 충분히 일리가 있고요. 저희가 이런 내용들에 대해서는 오해가 없도록 좀 수정할 필요가 있는 거 같습니다”라며 물러섰다.

 

A 씨는 “이렇게 끝날 문제는 아니다. 이런 피해를 나만 당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LG유플러스의 이런 요금 미리 받아내기 수법은 갑질 중의 갑질이다”라며 “유사 피해 고객들과 연대해 국회 국감장에 구광모 회장을 불러 국민의 아우성을 듣게 하겠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LG유플러스와 KT, SKT는 오랜시간 이동통신사업을 과점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저품질과 과도한 요금 부담에 불만이 커져 왔다. LG유플러스는 연간 14조 원이 넘는 매출에 1조 원 대의 천문학적 영업이익을 자랑한다. 하지만 통신사들은 2개월만 연체하면 가차 없이 통신을 끊어 고객을 블랙아웃에 빠뜨리고 있다. 정부는 경제침체 극복에 고객은 생계유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 LG유플러스의 고객서비스는 거꾸로 가고 있다.

 

이어서 피해자 모임을 만들어 국회 정보통신위원회에 구광모 회장의 국감 출석을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