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가구당 소유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한 주택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산 불평등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현상은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에서 드러났다.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 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작성됐다.
작년 72만 명 집 구매…1인가구·한부모가구 주택 소유율 낮아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 2,100만 원으로 전년(3억 1,500만 원)보다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는데,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 5,500만 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100만 원)의 40.5배 수준이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 1,600만 원)보다 약 4,000만 원, 하위 10%는 전년(3,000만 원)보다 100만 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보다 약 2.4배 많았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아 자산 양극화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주택이 없었다가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 9,000명이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0만 6,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 6,000명이었고 이중 대다수인 98만 1,000명이 집을 1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 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55만 6,000명이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675만 9,000채로 전년(1,644만 8,000채)보다 31만 2,000채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유주택자 1인당 평균 1.07채 보유…여성 다주택자 비중 상승세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74만 2,000채로 전년(1,643만 3,000채)보다 31만 1,000채 늘었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1,530만 9,000명)보다 30만 9,000명 늘어난 1,561만 8,000명이었다.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채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93만 8,000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60대(22.8%), 40대(21.2%), 70대(12.0%) 등 순이었습니다.
주택 1채만 소유한 사람은 1,327만 9,000명(85.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33만 9,000명(15.0%)이었다.
여성의 다주택자 비율은 15.0%로 전년보다 0.2%포인트(p) 상승해 남성(15.0%)과 같아졌다.
개인 소유 주택 1,674만 2,000채 중 단독 소유 주택은 1,449만 6,000채(86.6%)였고 나머지(13.4%)는 공동 소유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동 소유 비중이 0.1%p 상승했다.
개인 소유 주택 중 주택 소재지와 같은 시·도 내 거주자(관내인)가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86.3%로 전년보다 0.1%p 감소했다. 외지인의 주택 소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의미다.
관내인 주택 소유 비중은 울산(91.1%), 전북(89.6%) 등에서, 외지인 소유 비중은 세종(30.5%), 충남(17.6%) 등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