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문채형 기자 | 본지는 지난달 26일 롯데건설의 서울 전농8구역 재개발사업 수주 비리 의혹 시리즈 △제1탄, ‘조합장과 롯데건설 짬짜미 의혹’을 보도했다. 이어서 △제2탄, 전농8구역 불법 천태만상 △제3탄, 수의계약으로 인한 조합원들의 피해 △제4탄, 모럴 해저드의 끝판왕 롯데건설 보도를 예고했다. 보도 이후 전국의 다른 재개발‧재건축 현장의 조합원들로부터 제보가 잇따랐다. 제보 내용은 현재 취재 중으로 정확한 팩트 체크를 거쳐 추가로 보도할 예정이다.
예고한 대로 제2탄 ‘전농8구역 재개발, 불법 천태만상’을 보도한다. 전농8구역 재개발사업에서 조합장과 롯데건설 간의 비리 의혹이 제기되면서 본지는 조합원 A 씨로부터 한 통의 고발장을 입수해 분석했다. 지난 6월 동대문경찰서에 접수돼 수사가 진행 중인 고발장의 피고발인은 롯데건설 박현철 대표이사와 담당 홍보요원, 홍보인력 관리자 및 그 상급자들이다. 롯데건설은 고발인의 우려대로 8월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로 선정됐고, 최근 각종 비리 의혹이 제기되면서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전농8구역 재개발조합원 A 씨는 롯데건설과 직원들을 고발하며 피고발인들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 위반을 주장했다. A 씨는 고발장에 조합원들이 입을 피해를 막기 위해 고발한다면서 스스로 롯데건설로부터 불법 금품수수와 향응을 받았다고 적시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조합원들은 건설사 직원들이 제공하는 물품이나 식사를 당연하게 여겼으며, 이는 재개발 진행 과정에서 일반적인 홍보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라며 “당시에는 불법이라 인식하지 못해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A 씨는 조합원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롯데건설이 제공한 물품과 향응의 규모가 광범위하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그는 “롯데건설 직원들이 조합 사무실에 상주하며 조합 임직원들에게 식사와 간식 등을 챙겨주는 모습이 목격됐다”라며 “이러한 행위가 조합원들에게 불법적으로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한 것이라면 모든 관계자가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발장에는 조합이 롯데건설을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로 선정하면 조합원들에게 심각한 재정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롯데건설의 신용등급이 불량한 상황에서 수의계약이 진행될 경우, 이주비와 공사비 등의 대출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조합원들이 감당해야 할 부담이 증가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A 씨는 재개발조합이 다른 건설사들의 입찰 참여를 제한하고, 롯데건설만을 위한 입찰 과정을 밀어붙였다고 적었다. 조합은 입찰에 참여하려는 건설사들에 조합원 접촉을 제한하는 홍보 금지를 조치하는 등 롯데건설만이 입찰에 참여해 수의계약하게 의도적으로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이번 사안이 철저하고 엄중하게 조사되어, 재개발사업이 공정하게 진행되고, 조합원들과 지역 주민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적절한 수사와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전농8구역 재개발조합의 조완우 조합장은 본지의 보도에 대해 ‘정정보도 및 사과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서를 보내왔다. 조합은 본지의 보도가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허위 보도라며 언론중재위원회 및 국민청원, 대통령실 국민제안 등을 통해 진정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민사 및 형사 고소를 예고하며 조합원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언론사에 재갈을 물리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본지는 흔들림 없이 전농8구역 재개발조합과 롯데건설의 비리를 낱낱이 파헤치고 알릴 것이다. 현재 A 씨와 다수 조합원은 본지에 “조합이 억울하다면 당장 우리를 형사 고소하라”라며 “그때 모든 추가 자료를 공개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본지는 계속해서 이 사안을 주의 깊게 다룰 예정이다.
이번 사건의 진상 조사와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인 롯데건설 및 조합장에 대한 법적 조치가 어떻게 진행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합원들의 권익 보호와 재개발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어지는 제3탄에서는 ‘수의계약으로 인한 조합원들의 피해’를 통해 조합원 몰래 생기는 추가비용 등으로 인한 분담금 증가와 건설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익을 취하는지를 짚어본다. 본지는 롯데건설에 피해를 겪고 있는 조합, 피해자들로부터 제보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