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4.4℃
  • 구름조금강릉 15.1℃
  • 구름많음서울 15.5℃
  • 맑음대전 21.2℃
  • 맑음대구 20.3℃
  • 맑음울산 21.7℃
  • 맑음광주 20.9℃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20.3℃
  • 맑음제주 23.3℃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19.0℃
  • 맑음금산 21.3℃
  • 맑음강진군 19.4℃
  • 구름조금경주시 22.8℃
  • 맑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ABL생명, 후순위채 발행으로 자본 확충…자본 건전성 우려 여전

- 자본 확충에도 불구, 기본자본 비중 감소 우려
- 후순위채 발행 효과, 단기적 방어에 그칠 가능성
- 자회사 편입 대기 중, 자본 건전성 개선 요구 급증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ABL생명보험(ABL생명, 대표이사 사장 시예저치앙)이 최근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자본 확충에 나섰지만, 자본구조의 질적 저하가 심각한 상황이다. 기본자본(지급여력금액) 비중이 1년 새 32.7%포인트 떨어져 금융당국의 자본감독 강화 움직임 속에서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ABL생명은 지난달 26일 15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이는 지난해 9월(2000억원)과 12월(1000억원)에 이어 세 번째로, 최근 6개월 동안 총 4500억원의 보완자본을 조달한 것이다.

 

K-ICS 비율은 지난해 2분기 144.5%로 하락했으나, 하반기 자본 확충 덕분에 4분기에는 153.7%로 회복됐다. 후순위채 발행 효과가 반영될 경우 이 비율은 167.5%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023년 4분기 기준 ABL생명의 가용자본은 1조6618억원, 요구자본은 8936억원으로 K-ICS 비율이 186%에 달했으나, 2024년 1분기에는 가용자본이 1조5234억원으로 줄어들고, 요구자본은 9489억원으로 증가해 K-ICS 비율이 160.1%로 급락했다. 2분기에는 가용자본이 1조4182억원으로 더 감소하며, K-ICS 비율이 144.5%로 감독 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밑돌았다.

 

3~4분기에는 후순위채 조달이 반영되면서 가용자본이 각각 1조6340억원, 1조6701억원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경과조치 적용 전 기준으로 보면 자본의 질 저하가 더욱 두드러진다. ABL생명의 기본자본은 2023년 1조4485억원에서 2024년 9098억원으로 감소했으며, 기본자본 비중은 87.2%에서 54.5%로 떨어졌다.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도 113.3%에서 60.9%로 급감해 금융당국의 권고기준인 70%를 밑돌고 있다.

 

ABL생명은 현재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 편입을 기다리고 있으며, 금융위원회의 최종 인가는 오는 5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조건부 승인과 함께 자본 건전성에 대한 체계적 개선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ABL생명의 K-ICS 비율은 경과조치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본자본 축소는 장기적인 건전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실질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