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스마트폰은 손에서 놓기 힘들고, 뉴스보다 유튜브가 먼저다. 지금의 교실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앉아 있고,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도 더 이상 칠판과 분필만으로 수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시대다.
전라남도교육청이 이 변화의 흐름을 놓치지 않았다. 14일, 전남교육청(교육감 김대중)과 시청자미디어재단 광주센터(센터장 최유명)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장소는 전남교육청 본청.
이번 협약은 단순한 ‘미디어 활용법’ 수준을 넘어, 디지털 세상 속에서 학생들이 건강한 소비자이자 생산자로 성장하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지역 사회와 연계된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가 변화된 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자료 및 인적 자원 공유▲ 공생의 가치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교사 연수 및 학생 대상 교육자료 개발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펼쳐나간다.
최철호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은 “전남교육청과 함께 지역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미디어 교육이 이뤄지게 되어 뜻깊다”며, “재단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돕겠다”고 말했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디지털 미디어가 일상이 된 시대에, 학생들이 스스로 정보를 판단하고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교육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이번 협약이 건강한 디지털 시민 양성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