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서울시와 아동복지기관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교육 소외계층 아동·청소년의 학습격차 해소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측은 ‘서울런’ 사업의 대상을 중위소득 이하 다자녀 가구까지 확대하고 민간 기업 참여를 유도해 지속 가능한 공공 교육지원 모델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교육소외 해소 위한 민관 손잡다
서울시와 초록우산어린이재단(회장 황영기)은 20일 서울시청에서 ‘서울런(Seoul Learn)’ 사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저소득층에 한정됐던 사업 대상을 중위소득 100% 이하 다자녀 가구까지 넓히고, 온라인 학습 콘텐츠와 교재 등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서울런’은 2021년부터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공 교육복지 플랫폼이다.
기업 후원 연계해 안정적 모델로
이번 협약의 핵심은 단순 지원을 넘어 기업과 연계한 민간 협력을 확대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델로 정착시키는 것이다. 초록우산은 앞으로 다양한 기업 후원과 협력을 통해 교육 사각지대를 줄이는 동시에 서울런의 시스템적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다.
전국 확산 기대… 공공복지 모델로 부상
초록우산 측은 이번 협약이 민과 관이 공동으로 이룬 모범 사례로 평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황영기 회장은 “서울런은 단순한 교육 플랫폼이 아니라, 아동의 미래를 지켜주는 대표적인 교육복지 시스템”이라며 “전국 지자체와 민간 기업의 참여가 이어질 수 있도록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민간 주도, 공공 협력”… 미래 위한 투자
서울시는 ‘서울런’ 사업을 통해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아동·청소년 누구나 양질의 학습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사회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민간의 적극적 동참과 지자체의 체계적 운영이 어우러진 이번 협력은, 교육격차가 곧 미래격차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