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 ‘제2의 퓨리오사AI’ 찾는다…AI 스타트업 투자 확대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확보를 위해 초기 단계 스타트업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핵심 기술을 선점한 후 자사 서비스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과거 ‘퓨리오사AI’ 투자 사례처럼 장기적 시너지를 노린 전략이다.

 

 

18일 네이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국내 AI 스타트업 △앵커노드(생성형 AI 기반 게임 제작) △스콘(버추얼 콘텐츠 제작) △포도노스(음성 AI 분석) 등 세 곳에 직접 투자했다. 또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하고 첫 투자처로 멀티모달 AI 기업 ‘트웰브랩스’를 선택했다.

 

네이버는 과거 신경망처리장치(NPU) 설계사 퓨리오사AI의 초기 투자에 참여해 AI 플랫폼 및 자율주행 기술 협력을 이어온 바 있다. 이번 투자도 게임·버추얼 콘텐츠·음성 AI 분야에서 자사 서비스와 접점을 찾겠다는 구상이다.

 

앵커노드는 게임의 이미지·모션·배경을 AI로 자동 생성하는 솔루션을 개발했고, 네이버는 10억 원을 투자해 3.17%의 지분을 확보했다. 스콘 역시 버추얼 콘텐츠 제작 기술을 개발 중이며, 네이버는 15억 원을 투자해 7.32%의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두 회사의 기술은 네이버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치치직’, 라이브커머스, 숏폼 영상 서비스 ‘네이버 클립’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포도노스는 음성 AI 분석과 모델 평가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으로, 네이버는 7억 원을 투자해 5.11% 지분을 얻었다. 음성 AI는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 네이버가 준비 중인 ‘AI 브리핑’ 서비스와의 연계 가능성이 주목된다.

 

네이버벤처스의 첫 투자처인 트웰브랩스는 멀티모달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정부의 국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이는 네이버의 AI 플랫폼 및 데이터 학습 역량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네이버가 집중하는 초기 단계 투자는 위험 부담이 크다. 모든 투자처가 글로벌 기업의 러브콜을 받은 퓨리오사AI처럼 성공할 보장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스타트업 투자는 단순한 수익 계산이 아니라, 미래 기술과의 시너지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네이버의 연결 기준 연구개발 비용은 1조3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늘었다. AI 에이전트, 온디바이스 AI 등 핵심 분야에 집중하며 기술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