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세종~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의 원인이 공식적으로 현대엔지니어링의 관리 부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전도방지시설의 임의 제거와 안전규정 위반을 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하며, 영업정지 등 중징계 가능성이 커졌다.

조사위에 따르면 지난 2월 발생한 교량 붕괴는 교량 상판을 지탱하는 스크류잭과 와이어가 작업 도중 해체되면서 거더 전도가 막히지 못한 것이 직접적 원인이었다. 전도방지시설은 거더 고정 이후 해체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작업 편의를 이유로 이를 조기에 제거한 것이 치명적 결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또한 거더 이동 장치인 ‘런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도 문제로 드러났다. 이 장비는 전방 이동만 인증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후방 이동을 시도한 것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라는 지적이다. 조사위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를 파악하지 못했고, 안전관리계획서 검토도 소홀했다고 밝혔다.
시공계획서에 기재된 런처 운전자와 실제 작업일지의 운전자가 서로 달랐던 사실도 확인됐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당 행정기관에 통보해 벌점, 과태료, 영업정지 등 강도 높은 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정부는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전도방지시설 해체 시기 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건설 장비 선정 시 전문가 검토를 의무화하는 제도 개선책도 함께 내놓았다.
현대엔지니어링 측은 영업정지 가능성에 대해 “국토부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