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인공지능(AI) 경량화 전문기업 노타가 코스닥 입성을 본격화했다.

노타는 지난 21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모 물량은 291만6000주로, 희망 공모가는 7600~9100원 수준이다. 총 공모 예정 금액은 222억265억 원에 달한다.
수요예측은 내달 12~18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23~24일 양일간 실시된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최근 IPO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노타가 상장을 추진한 것은 사업 성장성과 투자자 신뢰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노타는 2015년 설립 이후 자체 개발한 AI 모델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를 앞세워 엣지 디바이스에서 고성능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왔다. 엔비디아, 삼성전자, ARM, 퀄컴, 소니, 르네사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업해 상용화 성과를 거뒀으며, 지능형 영상 관제 솔루션 ‘노타 비전 에이전트(NVA)’도 산업안전, 교통, 리테일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 중이다.
벤처캐피털의 투자 유치도 활발했다. 2021년 시리즈B에서 175억 원을 조달했고, 지난해에는 스틱벤처스·KDB산업은행·미래에셋증권 등이 참여한 시리즈C에서 300억 원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매출은 2021년 5억 원에서 2024년 84억 원으로 급성장하며 연평균 성장률 159.7%를 기록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IPO로 마련한 자금을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사업 확장에 집중해 AI 산업 전반의 도입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