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자이글, 공시 위반 누적 15점으로 거래정지…이차전지 신사업 '부메랑'

공시 번복, 결국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위기
벌점 7점 추가…누적 15점으로 거래정지
무리한 외연 확장에 실적·재무구조 모두 ‘적신호’
주가 부양 목적 공시 의혹, 대표이사 검찰 고발까지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자이글이 이차전지 신사업 관련 연이은 공시 위반으로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오를 위기에 처했다. 거래소는 19일까지 심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자이글은 현재 주권 거래가 정지됐다. 시장의 기대를 모았던 신사업 확장 전략은 결국 회사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셈이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자이글은 공시 위반 누적으로 벌점 15점을 기록, 코스닥시장 공시규정이 정한 실질심사 사유 기준선을 넘겼다. 최근 벌점 7점이 추가된 계기는 25억 원 규모로 공시한 고주파 마사지기 공급계약이 실제로는 7억 원에 불과했던 점이 드러나면서다.

 

자이글은 올해 초에도 이차전지 신사업 관련 공시 철회 및 번복으로 이미 벌점 8점·제재금 3200만 원을 받은 바 있다. 지난해 유상증자 철회와 유형자산 양도 번복 등으로 또다시 제재를 받았던 자이글은 결국 공시 위반 ‘단골’이라는 오명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특히 이차전지 사업 확대를 선언한 2022년 이후 공시 위반이 집중돼 문제는 더 커졌다. 당시 자이글은 미국 합작법인 설립과 300억 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하며 ‘신사업 대박’ 기대감을 키웠지만, 모두 철회되면서 주가 조작 목적의 허위 공시 의혹까지 제기됐다. 현재 대표이사와 법인은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신사업 리스크는 재무 건전성과 실적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4년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인 자이글은 올해 상반기 매출 42억 원, 영업손실 21억 원을 냈다. 유동비율은 22%로 심각한 수준이며, 현금성 자산도 27억 원으로 바닥을 드러냈다. 업계에서는 자이글이 추가 사업 투자 여력이 사실상 고갈됐다고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