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최영규 기자 | 지난 5일 영등포구 문래동 당산동 소재 8개 아파트 주민대책위원회는 문래동 꽃밭정원에서 김지연 영등포구의원과 대책위 소속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문래동 데이터센터 건립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대책위는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양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이며 고압선이 설치되고 서버 컴퓨터가 24시간 가동됨으로써 열과 소음, 진동이 발생하고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내보낸다"고 말했다.
또한 "건립 예정 부지에는 아파트 단지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바로 앞에는 공원이 있고, 중학교와 대형 병원, 대형 쇼핑몰이 인접해 있으며 많은 주민과 어린 학생들이 거주하고 공부하며 환자와 쇼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라고 강조하고 "이러한 주거 중심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건립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고 구청이 인허가를 내준다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구청장의 불통과 구청의 무책임한 행정은 주민에게 실망감과 좌절감을 안겨주고 위압감까지 느끼게 하고 있다" 며 "주택지의 위해시설인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법규가 수천 명 구민들의 생존권과 안전보다 더 우선이고 중요한지를 구청장과 구청에 묻고 싶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마지막으로 대책위는 데이터센터 건립 인허가의 즉각 취소, 착공 연장 신고 수리 결사 반대,
데이터 센터 인허가 절차와 자료 및 환경 영향 분석자료를 주민에게 공개, 구청장 면담과 공청회 즉시 개최 등 4개항을 구청에 공개 요구 했다.
김지연 영등포구 의원(도림·문래, 더불어민주당) 또한 지난 10월 27일 기자회견을 통해 “영등포구 주민들이 자신의 삶이 걸린 문제에 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냈음에도, 구청은 이를 외면하거나 회피로 일관했다”라며 “현재 영등포 행정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문래동 데이터센터 문제는, 2022년 11월 11일 최호권 구청장 민선 8기 초기에 건축허가가 이뤄졌고 주민들은 사후에야 내용을 알게 되었으며 사실이 알려진 이후 주민들은 1300여 명의 집단 반대 서명, 구청장 면담 요청, 집회 등을 이어가며 문제 제기에 나섰으나구청 대응은 “충격적 수준의 소극 대응”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또한, 10월 1일 면담을 요청한 주민 10여 명은 구청 로비에서 조용히 기다리고 있었을 뿐인데, 마주한 것은 구청장이 아닌 경찰이었다. 10월 16일 두 번째 면담 요청이 있었음에도 10월 27일 현재까지 구청장 면담은 단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구청장이 면담을 피하고, 민원의 답변을 지연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는 행정의 기능을 방기한 것이며 주민의 안전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 대해 어떠한 소통도 하지 않는 구청장은 반드시 그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