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5.7℃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4.3℃
  • 맑음대구 16.3℃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7.4℃
  • 맑음강화 13.1℃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6.4℃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안전 점검 사흘 만에 대형 붕괴”… 尹 정부 임명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 안전관리 비판 확산

울산화력 보일러 타워 붕괴로 다수 사상
사고 사흘 전 ‘안전 TF 회의’ 보여주기식 논란
외주화 구조가 낳은 관리망 붕괴
기관장 해임·낙하산 논란 재점화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철거 중이던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권명호 사장의 안전관리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으며, ‘안전경영’을 내세운 취임 이후 행보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소방당국과 발전업계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후 울산화력발전소 5호기 철거 현장에서 높이 60m 규모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해 작업자 9명 중 3명이 숨지고,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추가 붕괴 위험으로 구조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는 총력 대응을 지시했다.

 

사고 사흘 전인 11월 3일, 권 사장은 본사 전 부서장이 참석한 ‘중대재해 예방 전담조직(TF)’ 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당시 그는 “안전이 경영의 핵심가치”라고 강조했으나, 불과 며칠 뒤 같은 회사 현장에서 대형 붕괴가 발생하면서 회의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사고 당시 발파를 위한 철골 절단 과정에서 구조물의 무게 중심이 쏠리며 타워가 전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희생자 대부분은 하청 및 협력업체 소속으로, 위험 공정의 외주화가 사고의 구조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동서발전은 지난 7월에도 동해화력발전소 공사 현장에서 하청 노동자가 추락사한 바 있다. 연이은 중대재해에 “안전경영이 구호에 그쳤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울산경찰청은 70여 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꾸려 사고 원인과 책임 규명에 착수했으며, 울산지검과 고용노동부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정부는 지난 9월 ‘노동안전 종합대책’에서 공공기관 중대재해 발생 시 기관장 해임 건의 법제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권 사장의 거취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권명호 사장은 제21대 국회의원 출신으로, 2024년 11월 윤석열 정부에 의해 동서발전 사장에 임명됐다. 정치인 출신 인사에 대한 낙하산 논란과 전문성 부족 지적이 있었으며, 이번 사고로 책임론이 한층 거세지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등 노동계는 “죽음의 외주화 구조를 근본적으로 끊어야 한다”며 정부에 전면 감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동서발전 측은 “울산화력 5호기 폐쇄 후 철거 과정에서 설비가 내려앉은 것으로 보인다”며 “현장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관계기관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안전 전문가들은 “위험 공정을 외주화했다 해도 원청의 법적 책임은 면제되지 않는다”며 “고위험 철거공정에서는 구조물 전도 방지 설계와 와이어 지지 등 보조 안전조치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안전 TF’를 직접 점검한 지 사흘 만에 대형 참사가 발생한 만큼, 서류상의 안전 점검이 아닌 실질적 현장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멈추기 위해서는 문서가 아닌 현장에서의 책임 이행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