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7℃
  • 맑음강릉 8.7℃
  • 맑음서울 8.2℃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9.8℃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9.5℃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7.3℃
  • 맑음제주 13.2℃
  • 맑음강화 5.5℃
  • 맑음보은 6.3℃
  • 맑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6.9℃
  • 맑음거제 11.3℃
기상청 제공

전남교육, 교실의 틀을 다시 짜다… 12일 ‘2030교실·AI+X’ 정책 시동

- 12일 본청 상황실서 정책 아카데미 김대중 교육감 등 20명 참여
- 2026학년도 2030교실 운영 방향(안) 공유 학생 중심 학습 환경 논의
- AI+X 교육밸리 구축 방안 점검 학교–지역 연계 융합 교육 생태계 모색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도교육청이 오는 12일 열 예정인 ‘정책 아카데미’가 교육계 안팎의 시선을 끌고 있다.

 

교실의 모습부터 학습 방식, 지역과 연결되는 교육 생태계까지 폭넓은 변화의 초안을 공유하는 자리인 만큼, 참석자들의 논의가 어느 방향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이날 본청 5층 상황실에는 김대중 교육감을 비롯해 부교육감, 국장 등 20여 명이 머리를 맞댄다.

 

이번 정책 아카데미의 핵심은 두 가지. 먼저, ‘2026학년도 2030교실 운영 방향(안)’이 화두에 오른다. 더 이상 칠판 앞에 책걸상을 일렬로 놓는 시대를 벗어나, 학생 참여가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교실 재구성이 논의된다.

 

토론형 수업, 프로젝트형 학습, 휴식과 창의 활동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배움 중심 공간’으로의 전환이 골자다. 학교마다 개성이 다른 만큼, 일률적이지 않은 맞춤형 모델 도입에 대한 의견 나눔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어 다뤄질 주제는 ‘AI+X 교육밸리 구축 방안’이다. AI 과목 추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연계한 전남형 융합교육 모델을 만들어가자는 논의다.

 

AI 기술을 국어, 수학, 과학, 예술은 물론, 진로·직업교육과 접목해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프로젝트형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 무게가 실린다. 교육지원청–대학–지역 산업계와의 협력 구조를 더 촘촘하게 잇는 방안도 관심사다.

 

이번 정책 아카데미는 보고회 형식에 머무르지 않고, 참석자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실행 가능성을 점검하는 정책 설계 워크숍에 가깝다.

 

전남교육청은 내부 논의 구조를 정례화해, 교육 정책이 계획 단계에 그치지 않고 학교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운영 방향을 잡아가고 있다.

 

교육청은 “이번 논의가 책상 위 정책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바로 느낄 수 있는 변화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현장의 의견을 세심히 반영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데 힘을 보이겠다”고 전했다.

 

교실의 풍경이 달라지고, 수업 방식이 새로운 옷을 입을 준비를 하는 지금, 전남교육이 어떤 실행력을 보여줄지, 현장 교사와 학부모들은 조심스레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