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가 15년 만에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증 취소 방지를 위한 대응책을 강화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도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3만5328ha로, 지난해(3만4294ha)보다 1034ha 증가했다. 이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인증면적이 늘어난 수치다.
이번 증가세는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신규 벼 재배 확대 등 정책적 요인이 뒷받침한 결과로 분석된다.
전남도는 11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도와 시·군 친환경농업 담당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고 인증 취소 방지 및 관리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 이상기후 등 환경적 요인 속에서도 인증 유지율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안이 논의됐다.
인증 취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논두렁 제초제 사용,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 병해충 방제 시 합성농약 사용 등이 꼽힌다. 도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의무교육 강화, 방제업체 안전성 교육, 공동방제 사전신고제 도입, 드론방제 관리, 현장 지도점검 확대 등을 추진 중이다.
특히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을 시범 추진하고, 유기농 벼 재배필지의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를 막기 위해 자운영·헤어리베치 등 두과 녹비작물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인증농가의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질비료 사용, 잔류농약 검사 의무화 등 인증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인증 취소 방지대책을 단계적으로 실천해 실행력을 높이고, 단지화와 품목 다양화를 통해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건강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 안전성 관리도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