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성수 기자 | 광양시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 행정추진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행정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최근 분석한 빅데이터 분석과제는 ‘CCTV 설치 최적지’와 ‘정보공개청구 민원’데이터로 행정안전부의 ‘빅데이터 공통 기반 플랫폼(혜안)’을 활용한 자체분석으로 별도의 예산 없이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는 관련 부서에 제공해 업무개선, 신규사업 추진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CCTV 설치 최적지’분석은 CCTV 설치현황, CCTV 설치요청 민원, 여성 거주인구, 주택 유형, 숙박업소 등 6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시·범죄 취약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50개소의 CCTV 설치 최적지를 도출했다.
‘정보공개청구 민원’분석은 정보공개청구 데이터 1,879건을 분석한 것으로 81%(1,528건)가 지역 외 민원이었으며, 지역 내 민원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중마동(45.9%), 평균 처리시간은 7일, 주요 키워드는 ‘벌채 허가’로 인허가 민원이었다.
시는 민원 처리시간 단축 및 선제적 민원 대응을 위해 공개 가능한 민원 건에 대해서는 대표홈페이지 또는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사전 제공할 예정이다.
광양시는 2017년부터 ‘국민신문고 민원’등 20여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빅데이터 분석 업무협약 체결로 ‘전기차충전소 최적 입지’등 데이터 기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 행정을 추진해 7천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이주옥 정보통신과장은 “데이터 기반 스마트 행정추진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앞으로도 시정과 시민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