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소속 정상채 운영위원장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가 처음으로 선보인 ‘동네방네 비프’ 프로그램을 지역 주민 참여형태로 확대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9일, 제 300회 정례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정상채 운영위원장은 “‘영화축제의 도시 부산’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진정한 영화의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고민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관 주도형 영화 도시를 탈피하고 창의력을 갖춘 민간 영역을 지원하는 시 행정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정 위원장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가 14개 구·군에서 ‘동네방네 비프’ 프로그램을 진행한 것은 영화제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에 충분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영화제가 관주도형으로 고착된 운영형태를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정 위원장은 K-팝 K-컬쳐로 한류가 세계시장의 중심에 우뚝섬에 따라 국내시장의 선도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어서 정 위원장은 “현재 영화 생태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콘텐츠 유통시장의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영화제가‘동네방네 비프’를 통해 지역민에게 시혜적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주민 스스로 영화제의 주체가 되도록 참여하는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340만 부산시민과 함께 부산국제영화제를 만들어 나가야 영화의 도시가 될 수 있고 세계적인 영화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정 위원장은 10년 전만 해도 지역 영화·영상 산업 관련 업체가 두 자리수였으나, 현재 240여 곳으로 늘어,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영화․영상 콘텐츠산업 도시’로 자리매김할 안정적인 민간지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실제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국내 영화산업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부산 영화·영상 산업 매출 규모는 국내 4.9%를 차지하며, 광역지자체 중 세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쉽게도 디지털 온라인 유통업 매출액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 위원장은 첫째, 영화제에 걸맞는 영화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간영역 확대를 강조하면서, 관 주도형 영상산업 정책을 벗어날 것을 강조하였고 둘째. ‘영화의 도시’답게 민간사회단체가 주축이 된 (가칭) 구군별 영화사랑 지역주민 나눔위원회를 구성하여 시민의 참여기반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고 셋째, 부산형 영화산업시장 조성을 위한 민간영역 확대가 시급함을 설명하면서, 관 주도형 영화지원정책을 조속히 벗어날 때가 되었다고 강조하며,‘영화·영상 콘텐츠 산업 도시 부산’을 위한 안정적인 민간 지원 대책으로 영화제 지원의 30%에 해당하는 정도는 민간산업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넷째, 부산국제영화제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병행하는 시대가 왔다고 설명하면서, 영화제 초청작 온라인 상영 방안으로 OTT플랫폼이나 지역케이블 TV와 연계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정 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오프라인 행사에만 집중하지 않고, 시민과 함께 세계로 K-콘텐츠를 전파하는 세계적인 축제로 성장해나가길 기대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