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은 광주지역 비둘기 분변에서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살모넬라균과 캠필로박터균이 검출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민들에게 비둘기 서식지와 배설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것과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킬 것을 당부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 50곳의 비둘기 집단 서식지에서 60건의 비둘기 분변을 채취해 병원체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살모넬라균 1건(1.7%)과 캠필로박터균 4건(6.7%)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지난해 11월 남구 양림동 푸른길공원에서 채취한 비둘기 배설물에서는 두 가지 병원체가 동시에 검출됐다.
살모넬라균과 캠필로박터균은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비둘기 배설물과의 직접 접촉 또는 간접 경로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현철 광주보건환경연구원장은 “비둘기 서식지와 배설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시민들의 건강과 활기찬 삶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병원체 감시와 감염병 예방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