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광주광역시가 소상공인들의 경영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1700억 원 규모의 특례보증 사업을 시행한다. 이는 지난해 1500억 원에서 200억 원 증가한 금액으로, 민선 8기 들어 두 번째로 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이번 특례보증 사업은 '착한금융' 정책의 일환으로,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제공하여 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올해 소상공인 특례보증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00억 원으로 확대하여,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자금난 해소를 돕는다. 보증금액은 상반기 1000억 원, 하반기 700억 원으로 나누어 제공되며, 최대 대출한도는 5000만 원이다. 지난해보다 200억 원이 증가한 이번 특례보증은 경제 회복을 위한 중요한 재정적 지원이 될 것이다.
이번 특례보증 사업은 광주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광주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등 7개의 금융기관이 협력하여 진행된다. 이들 금융기관은 총 122억 원을 출연하여 보증 재원을 확충했으며, 소상공인들에게 보다 유리한 대출 조건을 제공한다. 소상공인들은 담보 없이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신용점수 350점 이상의 자영업자는 최대 5천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대출금리는 변동금리로, 단기코픽스+1.5~1.6% 또는 CD금리(91일)+1.5~1.6%로 책정되며, 보증수수료는 연 0.7%이다. 광주시는 소상공인들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58억 원을 투입해 이자 지원을 진행한다. 대출금리의 3~4%에 대해 지원하며, 중·저신용자에 대해서는 추가로 1%를 지원하여 경영 안정을 돕는다.
광주시는 소상공인들이 빠르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특례보증 사업의 시행 시기를 1개월 앞당겨 1월부터 시작했다. 소상공인들은 광주신용보증재단의 홈페이지를 통해 상담 예약 후, 해당 지점을 방문하거나 '보증드림'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을 할 수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특례보증이 경영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광주는 언제나 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곁에 있을 것이며, 더 따뜻한 민생경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광주시가 추진하는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 정책의 일환으로, 착한소비, 착한금융, 착한일자리의 3박자 정책을 통해 지역 경제의 안정적 성장과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속적으로 지역 소상공인들과 자영업자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