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광주 충장로 상권이 반값 임대 협약을 통해 22%의 공실률 문제를 해결하고 상권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충장로 1·2·3가는 최근 상인과 건물주들이 힘을 합쳐 상생 협약을 체결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동구 충장로 갤러리존에서 열린 '충장로 1·2·3가 활성화를 위한 반값 임대료 상생협약식'에서 상가 건물주들과 상인회가 협력하여 공실 해소를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 임택 동구청장, 김희정 건물주 대표, 정순기 상인회장이 참석했으며, 총 25개 공실 점포 중 23명의 건물주가 협약에 동참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충장로 1·2·3가의 건물주들은 공실 상가 임대료를 시세보다 40~50% 낮추어 공급하며, 최소 2년 동안 임대 운영을 보장한다. 상인회는 충장상권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협력하고,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광주시와 동구는 이번 상생 모델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착착착(착한 소비, 착한 금융, 착한 일자리)’을 통해 광주 경제의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현재 경제 상황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고 하지만, 이번 반값 임대 상생협약이 충장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광주시는 앞으로도 공실 문제를 해결하고, 충장로 1~3가의 활성화를 위한 상생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약식 이후, 강기정 시장과 충장로 상인 30여 명은 ‘충장로 상권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정책소풍’을 진행했다. 상인들은 ‘온라인 소비 트렌드 변화와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충장로 상권이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이 24.3%에 달할 정도로 상권 침체가 심각하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상권 회복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현재 충장로 1·2·3가는 전체 393개 점포 중 305개가 영업 중이며, 88개 점포가 비어 있는 상태로 공실률은 22.4%에 달한다. 한편, 충장로 4·5가는 공실률이 29.9%로 더 높은 상황을 보이고 있다.
이번 상생 협약은 충장로 상권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광주시는 향후 상권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