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초등학생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감염병 예방학교’를 시범 운영한다. 수두와 백일해 등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한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해 확산을 막겠다는 전략이다.
광주광역시는 3일 시청 세미나실에서 ‘감염병 예방학교 운영협의체 회의’를 열고, 지역 내 초등학교 3곳을 선정해 올해 첫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감염병 예방학교는 단순한 예방교육을 넘어 실질적인 감시 및 대응체계를 갖춘다. ▲감염병 발생 감시 및 신속 대응 ▲학생·교직원·학부모 대상 예방교육 ▲맞춤형 감염병 예방 활동 등이 주요 내용이다. 특히, 보건교사 지도 아래 학생들이 직접 감염병 예방 캠페인을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 교육청, 보건소, 질병관리청 호남권질병대응센터 등 관련 기관들이 협력해 핫라인을 구축하고,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정보 공유와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감염병관리지원단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부모 대상 감염병 인식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도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강윤선 공공보건의료과장은 “감염병 예방학교 운영을 통해 학생 스스로 건강을 지키는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며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건강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시범 운영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광주 전역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학교가 감염병 예방의 최전선이 되는 변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