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3.0℃
  • 구름많음강릉 22.6℃
  • 구름많음서울 23.3℃
  • 맑음대전 26.1℃
  • 맑음대구 28.8℃
  • 맑음울산 25.9℃
  • 맑음광주 24.1℃
  • 맑음부산 20.4℃
  • 맑음고창 23.9℃
  • 맑음제주 24.8℃
  • 구름많음강화 17.0℃
  • 맑음보은 25.7℃
  • 맑음금산 25.5℃
  • 맑음강진군 19.7℃
  • 맑음경주시 28.8℃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보성, 복지에 안전을 더하다”… 스마트 온(ON)마을 600사업 출발

- 고령화·1인 가구 늘며 커진 복지·안전 사각지대… 보성군, 현장 중심 해법 내놨다
- LED 조명부터 스마트 지팡이까지… 12개 읍면 맞춤형 안전망 구축 박차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LED 조명이 어두운 골목길을 비추고, 지팡이에 내장된 센서가 어르신의 움직임을 기록한다. 전동차엔 야광 덮개가 씌워져 야간 사고 위험을 낮춘다. 말 그대로 ‘생활밀착형 안전 서비스’다. 보성군이 행정안전부의 ‘2025년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공모에 선정되면서, 지역에 맞는 스마트 복지 실험이 시작됐다.

 

공모에 선정된 사업명은 ‘복지에 안전을 더하다! 스마트 온(ON)마을 600사업’. 이름처럼, 복지의 틀 안에 ‘안전’이라는 요소를 촘촘히 결합한 것이 핵심이다. 군은 공모를 통해 확보한 4천만 원의 사업비를 바탕으로, 총 12개 읍면에 맞춤형 안전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설치 대상은 단순히 시설이나 장비에 그치지 않는다. 이 사업의 진짜 강점은 ‘사람’에 있다. 보성군은 각 읍면에 ‘복지안전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주민이 스스로 이끄는 자율 안전망을 마련하고, 기존의 민간 복지 자원을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우리동네 복지기동대’는 주거지 안전 점검과 생활 불편 해소를 담당하고, ‘남도사랑봉사단’은 생활안전키트를 지원한다. ‘여성자원봉사회’는 균형 잡힌 먹거리로 어르신들의 건강을 챙긴다. 말 그대로 ‘마을 전체가 하나의 복지팀’처럼 움직이는 셈이다.

 

이번 ‘스마트 온(ON)마을 600사업’은 단지 장비를 나눠주는 사업이 아니다. 지역이 스스로 위기를 감지하고, 돌봄과 안전을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마을형 안전 복지 시스템’을 향한 실질적 움직임이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기술과 사람이 연결되는 복지 모델을 통해, 어르신과 취약계층의 삶을 조금 더 안전하게 만들 수 있게 돼 의미가 크다”며 “군민 모두가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보성 만들기에 행정이 든든한 울타리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