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오세현 아산시장은 17일 “아산시는 더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라 국가 운영의 핵심 파트너인 ‘지방정부’가 돼야 한다”며 간부 공무원들에게 자긍심과 책임 행정을 주문했다.
오 시장은 이날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주간간부회의에서, 지난 12일 청와대 국정설명회에서 대통령이 ‘지방정부’라는 표현을 직접 언급한 점을 재차 강조하며 “지역 현장에서 정책이 집행되는 과정이 국가 차원에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그는 “중앙정부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대통령께서 자치단체를 ‘기초단체’가 아닌 ‘지방정부’로 명확히 지칭한 것은 의미 있는 변화”라며 “아산시도 국가정책의 최종 집행기관으로서 책임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국정설명회에서 아산시가 겪고 있는 제도적 한계를 직접 건의한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지역화폐 CRM(고객관리관계) 제도의 구조적 한계, 국가하천 준설 및 특별재난구역 지정 과정에서의 제약 등을 언급하며 “법·제도의 한계를 이유로 멈추는 행정에서 벗어나, 중앙정부에 현실적 대안을 제안하는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산·천안권에서 진행 중인 첨단산업 육성 흐름 역시 지방정부 역할 강화의 이유로 들었다.
오 시장은 탕정 테크노밸리에 조성되는 약 3,000억 원 규모의 ‘첨단 디스플레이 국가연구 플랫폼’, 약 5,000억 원 규모의 무기발광디스플레이센터, 삼성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기업 확장 등을 예로 들며 “제2 테크노밸리이자 제2 실리콘밸리로 도약할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자율·전기·수소차 테스트베드,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바이오의료지원센터, 바이오·헬스 산업 인프라 구축 등과 함께 아산이 미래 모빌리티·바이오산업의 국가 혁신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시민이 변화를 체감하도록 주요 국책사업과 첨단산업 추진 상황을 신속·정확하게 전달하는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오 시장은 △겨울철 건강관리 지침 마련·전파 △제설·낙엽 배수구 정비 등 계절 행정의 선제 대응 △내년도 불필요 예산 정비 △간부 공무원의 경험을 살린 적극행정 추진 등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