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5℃
  • 구름조금대전 9.3℃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10.2℃
  • 구름조금광주 9.6℃
  • 맑음부산 11.6℃
  • 구름많음고창 8.4℃
  • 구름많음제주 11.2℃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7.5℃
  • 맑음금산 8.9℃
  • 구름조금강진군 10.2℃
  • 맑음경주시 10.2℃
  • 맑음거제 9.5℃
기상청 제공

전남도의회 가족행복 특위, ‘아이 키우기 좋은 전남’ 해법 토론… 2026년 가족 정책 전면 점검

- 보육료 현실화·교사 배치 기준 개선, 현장 체감도 높일 방안 모색
- 도의회 가족 정책은 전남 지속 가능성의 핵심 견제·협력 의지 재확인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도의회 가족행복 정책 특별위원회가 17일 2026년 가족 정책을 점검하는 원탁토론회를 열며, ‘아이 키우기 좋은 전남’을 향한 정책 논의가 한층 속도를 냈다.

 

이날 중회의실에서는 각 부서가 제출한 내년도 가족 정책의 주요 방향을 청취하는 것을 넘어,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를 어떻게 해소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들이 오갔다.

 

토론은 자연스럽게 하나의 질문으로 이어졌다. “전남의 지속 가능성을 지탱하는 가족 정책, 지금의 속도로 충분한가?”

 

박현숙 위원장(더불어민주당·비례)은 0세 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1:2로 낮춘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재정적 기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보육료 단가 인상 폭이 3%에 그친 점을 언급하며, 현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위원들은 양육 부담, 돌봄 공백, 보육기관 인력난 등이 단일 부서의 조치나 일회성 개선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에 공감하며, 부서 간 협업 강화와 사각지대 해소를 주문했다.

 

상황을 종합해보면, 전남 곳곳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문제들은 더 이상 ‘미세 조정’에 머물 수 없으며 구조적 접근이 요구된다는 의견으로 이어졌다.

 

토론회는 점검을 넘어, 현장의 목소리와 제도의 간극을 좁히려는 의지가 드러난 자리였다.

 

박현숙 위원장은 “가족 정책은 전남의 장기적 생존력과 직결된다”며, 의회가 견제와 협력을 병행해 정책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남의 인구 구조와 지역적 조건을 고려할 때 가족·보육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점도 다시 강조됐다.

 

한편, 가족행복 특별위원회는 박현숙 위원장을 비롯해 김미경(정의당·비례) 부위원장, 윤명희(장흥2), 한춘옥(순천2), 오미화(영광2), 최미숙(신안2), 전서현(국민의힘·비례), 김화신(더불어민주당·비례), 한숙경(순천7) 의원 등 9명으로 구성돼 활동하고 있다.

 

위원회는 앞으로도 민생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제도와 예산을 면밀히 살피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전남’ 실현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