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 최초 ‘공유 e-모페드(Moped)’ 출시, 올해 한국 포함한 주요 국가 도시로 확장 목표
- 최대 140km까지 충족하는 친환경 라인업으로 ‘글로벌 e-모빌리티 리더’ 역할 담당
- 글로벌 전기스쿠터 제조업체 니우(NIU)에서 제작, 최대 두 명 탑승 가능 및 헬멧 탑재
글로벌 공유 모빌리티 기업 ‘라임(Lime)’이 28일(현지 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본사에서 업계 최초로 ‘모페드(Moped) 공유 서비스’를 출시하고, 올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 도시들에 진출할 목표를 밝혔다. 이를 위해 라임은 향후 몇 달 안으로 미국 워싱턴 DC와 프랑스 파리에서 모페드 공유 서비스 시범 운영을 먼저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모페드란, 원동기를 장착한 소형 이륜차를 지칭하는 말로, 이번 라임의 공유 모페드는 전기로 작동하는 스쿠터에 가까운 친환경 이동수단이다.
이로써 라임 앱 하나로 기존 서비스하던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에 모페드까지 총 3종류의 친환경 전기 이동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국내에서는 현재 라임이 전동킥보드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지만, 모페드가 추가되면 시민들의 보다 먼 거리까지의 이동 수요 충족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라임 전동킥보드 1회 도심 내 평균 주행 거리는 약 1~3km이지만, 국내에도 모페드를 도입할 수 있게 되면 약 3~8km 혹은 그 이상 먼 거리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새로운 모빌리티 라인업으로 보다 많은 자동차 사용을 대체할 수 있어, 도심 내 ‘오염물질 배출 감소’, ‘교통체증 감소’, ‘에너지 효율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미 에너지국 등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영국 등 주요 국가의 전체 자동차 탑승 건 중 60%가 약 5마일(약 8km) 미만으로 운행한 것으로 나타나, 상당 부분 모페드가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임의 공유 모페드는 세계적인 전기스쿠터 제조업체 니우(NIU)에서 제작했다. 모페드에 장착된 운반 케이스에는 두 개의 헬멧이 탑재돼 있어, 최대 두 명의 사용자가 함께 탑승할 수 있다. 모페드 탑승은 기존 라임 앱을 이용하면 되며, 탑승자는 운전면허증을 인증한 후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워싱턴 DC와 파리에서 먼저 시범 운영되는 라임 모페드의 최대 속도는 약 45km/h로 설정될 예정이며,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4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라임의 CEO 웨인 팅(Wayne Ting)은 “업계 최초로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3가지 이동수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시와 사람들이 다시금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사회적 거리를 지킨 상태로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라임은 앞으로도 사람들이 세계 주요 도시를 언제든지 여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람 중심의 도시를 육성하려는 기업의 사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라임이 구축한 멀티모달 교통 서비스는 우버(Uber), 구글지도(Google Maps), 시티맵퍼(CityMapper) 등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세 개의 도심 교통 어플리케이션과의 독점 통합으로 더욱 강화돼,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잘 사용하지 않았던 수 억명의 사람들의 관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전세계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경 이동수단에 대한 여러 선택지를 제공하는 라임은 교통혼잡을 줄이고, 포스트 코로나 도심 내 이동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임은 공유 모페드 서비스의 각 도시 진출에 있어, 현지 법규를 준수하고 우려 사항 등을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각국의 도시 별 규제 담당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