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CONOMY 정재영 기자 |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도 교통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당수의 운전자가 당장 몸에 통증이나 이상이 없으면 별도의 병원치료를 받지 않은 채 넘기곤 한다. 이는 자칫 교통사고 후유증을 악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교통사고 이후 발생하는 다양한 통증과 후유증을 모두 일컫는 교통사고 후유증은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개월 이후 나타나곤 한다. 사고 후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진행되지 않으면 이상증상이 악화돼 일상생활에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교통사고가 난 후 한방치료를 희망해 한의원에 내원하는 환자 중 상당수가 목통증이나 허리통증, 두통 등과 관련된 통증 등을 호소한다. 문제는 X-ray, MRI 등 영상 검사를 진행해도 후유증 원인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한방카네트워크 대구율하점 예인한의원 박인혜 원장은 “이에 한의원에서는 교통사고 후유증 치료를 위해 다양한 한방요법을 활용하고 있다. 교통사고 후유증 요인을 어혈로 보기 때문”이라며 “어혈이란 타박상 등으로 살 속에 피가 맺힌 것으로 기혈순환을 저해하고 염증 반응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정상적인 경락이나 혈관을 벗어나 생기는 비정상적인 혈액 덩어리는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신체 곳곳으로 확산한다. 생리적 기능을 잃은 찌꺼기를 조기에 제거해야 교통사고 이후 추가적인 병리증상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 후유증을 개선하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어혈을 없애는 치료가 필요하다. 한방카네트워크 마포구상암동점 경희훈훈한의원 최지훈 원장은 “어혈을 다스리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한방요법으로는 한약‧약침‧추나요법 등이 있다”며 “우선 혈액을 맑게 하고 기혈 순환과 해독을 돕는 약재로 한약을 처방해 통증과 마음의 불안정을 해소하는데 주력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침요법을 활용한다. 침과 한약의 효과를 결합한 약침은 추출한 한약을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통증을 완화한다. 국소부위에 직접 작용하기 떄문에 비교적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술이 간편하며 내복하기 힘든 이들에게 용이하다.
교통사고 충격으로 근육이 놀라고 신체 균형이 비틀어진 경우에는 추나요법이 도움이 된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손이나 신체 일부분 또는 추나 테이블 등의 보조 기구로 환자의 신체를 자극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틀어진 골격을 바로잡고 관절과 관절 사이, 척추와 척추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 신경의 압박을 경감시킨다.
교통사고는 가벼운 접촉사고라고 하더라도 잠복기를 거쳐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고 발생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증상이 심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원한다면 의료진과 상의 후 한방병원 입원치료를 고려해보는 것을 권한다.